최신뉴스

[WDC News] ‘데스 스트랜딩’, QHD·4K로 즐길 수 있는 꿀조합은?

▲ 미래의 쿠팡맨(?)이 되어 볼 수 있는 데스 스트랜딩.


지난 글에서는 택배 시뮬레이터 ‘데스 스트랜딩(Death Stranding)’을 FHD 해상도로 쾌적하게 즐길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 바 있다. 약 60만 원이 채 안 되는 비용을 들이면 나름 최신(PC에서는 최신이다!) 게임을 즐길 수 있었다. 이는 게임 내 최적화가 잘 되어 있었기 때문.


이번에는 코코코 코지마 프로덕션(안마의자 아니다)이 개발한 화제의 게임, 데스 스트랜딩을 WQHD 혹은 4K 해상도에서 즐길 수 있는 시스템 사양을 제안하고자 한다. 무작정 고사양 부품을 제안하는 것이 아닌, 비교적 합리적인 선에서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선에서 제안하고자 하니 참고하자.


다시 데스 스트랜딩의 사양을 보자


한 번 더 데스 스트랜딩의 사양을 확인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FHD와 달리 WQHD 해상도 이상에서 즐긴다는 것을 감안해 사양을 세밀히 들여다 봤다. 참고로 이전 글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이 게임은 플레이스테이션 4로 먼저 만들어졌다. 게릴라 게임즈의 데시마 엔진으로 개발됐는데, 전반적으로 이 엔진을 쓴 게임은 플레이스테이션 4에서도 그럭저럭 쾌적하게 실행됐다. 그래서인지 PC에서도 최적화는 어느 정도 잘 되어 있는 편이다.



인텔 코어 i7-3770 혹은 AMD 라이젠 5 1600 프로세서 이상, 8GB 메모리, 엔비디아 지포스 GTX 1060 6GB 또는 AMD 라데온 RX 590 등을 제안하고 있다. 쿼드코어 이상으로 구성된 프로세서와 6~8GB 비디오 메모리 용량을 가진 최신 중급 그래픽카드면 충분하다.


물론, 이는 권장 사양이기 때문에 실제 QHD 및 4K 해상도에서 게임을 즐기려면 조금 더 높은 사양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대략 6~8코어 프로세서와 고성능 그래픽카드, 대용량 메모리 등이 필요해 보인다. 하지만 우리의 지갑은 여유롭지 않다. 게임을 고해상도로 즐기면서도 합리적인 가격대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 데스 스트랜딩 QHD 해상도 성능 비교표. RX 590도 60 프레임의 자신감을 보여줄 정도다.

이는 최적화가 잘 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자료-guru3d)


여러 IT 매체 및 벤치마크 사이트, 커뮤니티 등에서 실시한 테스트에서 데스 스트랜딩은 QHD 해상도에서 라데온 RX 590 혹은 지포스 GTX 1660 등으로 평균 초당 60~65 프레임 전후의 성능을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포스 RTX 2060 혹은 2060 슈퍼는 이보다 더 나은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 4K는 말할 것도 없다. 지포스 RTX 2060 슈퍼 정도면 선명한 화질로 쿠팡맨 체험이 가능하다.

(자료-GAMEGPU) 


게다가 이 게임은 엔비디아의 DLSS 2.0이 적용된다. 처음 출시했을때 프레임 향상은 별로 없고 이미지 퀄리티만 깎아먹어서 악평을 엄청 먹었던 DLSS 기능이지만, 2.0에서는 완전히 환골탈태하여 이미지 퀄리티는 유지하고 프레임은 올려주어 사용자들에게 다시 호평 받고 있다. 단, DLSS 기능은 최소 RTX 2060 이상의 그래픽카드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어쨋든 DLSS 2.0을 적용하면 데스 스트랜딩은 4K 해상도에서도 꽤 저사양(?) 게임이 된다. 라이젠 5 3600X 구성으로 적용해 보면 지포스 RTX 2060으로 평균 59 프레임, RTX 2060 슈퍼는 무려 64 프레임 수준의 성능을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벤치마크 결과를 참고해 최적의 조합을 고민 또 고민해 아래와 같은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데스 스트랜딩을 QHD/4K에서 즐기자! 60 프레임 최적가


external_image


참고로 아래 부품들은 하나의 기준을 제시(헝그리!!)하는 것이지 완전한 정답이라 할 수 없다. 조립 PC의 부품 구성 자유도는 매우 높으므로 해당 견적은 참고만 하자. 얼마든 소비자 취향에 따라 PC 시스템 선택이 가능하다. 가난하면 이보다 더 부품 구성을 짜게 가져가면 되고, 부유하면 여유롭게 구성하면 된다는 이야기다.


▶ 프로세서(CPU) : AMD 라이젠 5 3600XT (31.5만)


external_image

3세대 라이젠 프로세서 중 균형미가 돋보이는 제품을 하나 꼽으라면 아마 라이젠 5 3600X가 아닐까 싶다. 그 3600X의 개선판 모델인 3600XT를 가져왔다. 6개의 코어에 SMT 기술을 더해 여유로운 처리 능력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기존 3600~3600X에 비해 동작주파수가 꽤 올랐기 때문에 3600X로 진행한 위 벤치마크보다 성능 마진이 더 여유롭다.


AM4 소켓을 활용한다는 것도 동일하므로 라이젠 1000~2000번대 사용자들이 넘어오기에도 큰 무리가 없다. 기본 작동속도는 3.8GHz에 최대 4.5GHz까지 작동하며, 오버클럭도 지원한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출시 초기에 다소 높게 잡혀 있는 듯한 시장 가격이다. 좀 하락하면 120만 원대 견적도 가능할법하다.



▶ 그래픽카드 : 이엠텍 지포스 RTX 2060 SUPER 미라클 V2 (45.7만)


데스 스트랜딩은 FHD 기준 RX 570으로도 충분한 성능을 낸다. 하지만 QHD 및 4K 해상도로 올라가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더 많은 화소를 표시해야 되므로 그에 걸맞은 성능을 갖춰야 한다. 그래서 추천하는 그래픽카드는 바로 이엠텍 지포스 RTX 2060 SUPER MIRACLE V2 D6 8GB다.



더 좋은 그래픽카드도 있지만 이것을 선택한 이유는 데스 스트랜딩의 최적화에 있다. 타 게임을 고해상도로 즐기고자 한다면 RTX 2080급 이상 그래픽카드를 선택하는 방법도 있다. 가격은 화끈하게 올라가겠지만, 든든할 것이다. 하지만 최대한 비용을 줄이면서 게임을 고해상도에서 적절히 즐기고자 한다면 RTX 2060 SUPER 정도면 마지노선이 아닐까 싶다.


이 그래픽카드는 2176개의 쿠다코어가 제공되며, 1470MHz의 기본 작동속도에 최대 1650MHz까지 상승한다. 256비트 인터페이스에 14Gbps로 작동하는 GDDR6 비디오 메모리 8GB를 제공, 여유로운 성능을 낸다. 활용성이 대폭 향상된 DLSS 2.0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하위 라인업인 GTX 1650~1660Ti와는 큰 차이가 있으며, DLSS 2.0 적용시 전 세대 최상위 라인업과 견줘도 크게 밀리지 않는다.



▶ 메인보드 : MSI MAG B550M 박격포 (19.6만)


PC의 성능은 프로세서와 그래픽카드와 같은 성능이 즉시 체감되는 부품의 선택도 중요하지만, 결국 안정적인 유지를 위해서는 메인보드의 선택도 중요하다. 다양한 제품이 시장에 있지만 필자가 선택한 제품은 바로 MSI MAG B550M 박격포다. 크기는 작지만 2온스 구리 기판층 적용과 디지털 전원부, 스틸아머 등으로 안정성을 높인 것이 선택의 이유 중 하나다.

m-ATX 규격 메인보드인 이 제품은 AM4 소켓 규격으로 1~3세대 AMD 라이젠 프로세서와 호흡을 맞춘다. 당연히 앞으로 출시될 AM4 기반 프로세서도 사용 가능하다. 11페이즈 전원부(8+2+1 구성)로 안정적인 구동을 돕고, 최대 128GB 메모리 확장을 지원한다.


이 외에도 PCI-Express 슬롯 4개, M.2 단자 2개, SATA 6Gbps 단자 4개 등 기본적인 확장성을 갖췄고, USB 3.1(G1)과 USB 2.0, USB-C 규격 단자 등 외부 기기 연결을 위한 단자들도 충분하다. 가격은 19만 원대로 비교적 조금 높은 편이지만 완성도는 충분하다. 참고로 1만 원 정도 더하면 와이파이를 지원하는 제품을 손에 넣을 수 있으니 무선 환경을 고려한다면 이쪽을 선택해도 좋다.



▶ 메모리(RAM) : ADATA XPG PC4-25600 CL16 SPECTRIX D60G 16GB (8GBx2) (12.8만)


메모리는 여러 작업을 쾌적하게 실행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자연히 게임을 즐기는 데에도 중요하다. 게임에 따라 메모리 점유율이 크게 증가하기 때문이다. 최근 게임은 16GB 가량을 권장하고 있고, 일부 모드를 쓰는 게임은 그 이상을 요구한다. 정리하면 이렇다. 메모리는 용량 확보가 중요하다. 여기에 속도가 빠르면 금상첨화다. 특히 라이젠은 3200MHz 이상을 지원하니 가급적 이에 맞추는 것이 좋다.

그래서 선택한 제품은 ADATA XPG PC4-25600 CL16 SPECTRIX D60G 16GB. DDR4-3200에 대응하는 이 메모리는 램 타이밍 CL16-18-18로 만족스러운 사양을 갖췄다.


속도 자체는 3세대 라이젠 프로세서가 대응하는 부분이기에 구성해 놓으면 프로세서의 성능을 최대한 끌어내는데 유리하다. 가격은 16GB 키트 기준 12만 원대 후반이다. 조금 높아 보이지만 화려한 LED가 PC를 감싸주니 약간의 위안이 된다.



▶ SSD : WD BLACK SN750 M.2 NVMe 500GB (11.1만)


이제 누구나 SSD를 선택하는 시대. 중요한 것은 이제 어떤 SSD를 선택하느냐다. 구형 시스템이나 비용을 아낄 요량이라면 2.5인치 기반의 SATA 6Gbps 제품을, 슬롯이 있고 성능에 초점을 둔다면 M.2 기반의 SSD를 선택하는 추세. 특히 M.2, NVMe 규격의 SSD는 초당 전송속도가 GB 수준이어서 게임을 빠르게 설치하고 즐기는데 좋다.

무엇보다 메인보드에 NVMe M.2 슬롯이 있으므로 필자의 선택은 WD BLACK SN750 M.2 NVMe 500GB다. M.2 규격의 NVMe SSD로 11만 원대 가격으로, 뛰어난 성능과 든든한 AS를 동시에 갖출 수 있기에 선택했다.


TLC 기반의 낸드플래시를 채택한 이 SSD는 자체 기술을 통해 읽기/쓰기 최대 3470MB/s, 2600MB/s 가량의 속도를 제공한다. PCIe 3.0 기반의 SSD 중에서는 최상급 성능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안정성도 높다. 300TBW 정도의 총 쓰기 용량 내구 성능 등의 사양을 제안하고 있다. 일반 환경에서의 사용에서는 무난하지만 최근 게임과 소프트웨어 설치 용량이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여서 부족하다 싶으면 증설하는 것도 방법이다.



▶ 파워서플라이 : FSP HYPER K 700W 80PLUS Standard 230V EU (7.6만)



이제 파워서플라이를 골라 보자. 대부분 프로세서와 그래픽카드 등 주요 부품에 정신이 집중되기 때문에 관심사는 뒤로 밀려 있지만 중요한 부품이니 안정성과 가격 등을 고려해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든 부품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고마운 부품이다. 그래서 선택한 파워서플라이는 FSP HYPER K 700W 80PLUS Standard 230V EU. 성능을 고려해 여유로운 출력을 갖춘 제품을 선택했다.


이 제품은 700W 출력으로 85% 전후의 효율을 낸다. 이를 증명하듯 80플러스 스탠다드 인증을 받았다. 12V 출력 라인을 단일(53A)로 구성, 각 부품에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이뤄지도록 설계한 점에 주목하자. 이 정도만 하더라도 이 시스템을 구동하는데 아쉬움은 없어 보인다.



▶ 케이스 : COX A3 맥스 메쉬 (5만)


다 왔다. 이제 마지막이다. 모든 부품을 다 담을 멋진 케이스를 고를 차례다. 비용을 아끼면서도 멋지면서 합리적인 가격대 제품은 무엇일까? COX A3 맥스 메쉬가 사정권에 들어온다. 5만 원 가량의 가격에 측면 강화유리와 RGB 팬을 적용, 멋을 살렸다. 전면에는 타공처리한 메쉬 그릴을 채택해 공기 흐름 성능까지 확보한 것이 특징이다. 고성능 부품을 구성하면서 발열이 상승한 점을 고려했다.



COX A3 맥스 메쉬는 하드디스크 최대 2개, SSD 최대 3개 조립 가능하고, 최대 312mm 길이의 그래픽카드도 품는다. 여기에 RGB 팬 6개를 기본 제공한다. 화려하면서도 공기 흐름의 최적화에 큰 도움을 준다. 고성능 부품을 품기에 아쉬움이 없는 구조다.


프로세서에서 시작해 케이스를 끝으로 데스 스트랜딩을 PC 내에서 QHD 및 4K 해상도로 즐길 수 있는 최적의 시스템을 구성해 봤다. 약 130만 원대 가격으로 FHD 본체보다 두 배 이상 비싸지만 데스 스트랜딩 외에도 많은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사양이다. 모든 가격은 다나와 최저가 기준이며, 내용에 언급되는 가격은 시시각각 변하기 때문에 참고만 하자.


▲ 흡! 4K 풀옵 60FPS를 120~130만 원대에 가능한 세상이라니! 단 DLSS 2.0 한저...ㅇ읍읍!


소비자 취향에 따라 주요 부품의 추가나 부품 변경 등의 이유로 비용이 더 추가될 수 있다. 이 글에서 언급한 사양으로 데스 스트랜딩을 고해상도로 부드럽게 즐길 수 있지만, DLSS 2.0의 도움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DLSS가 적용되지 않는 다른 초고사양 게임의 경우 고해상도 풀옵션 60 프레임은 어려울 수도 있다. 만약 다른 게임의 추천 견적이 궁금하다면 이 글에 댓글로 신청해달라. 벤치마크를 모두 참고하거나, 혹은 직접 테스트 해서라도 가성비 좋은 견적을 준비해 오겠다.



기획 편집 송기윤 iamsong@danawa.com

글 사진 강형석 news@danawa.com

(c)가격비교를 넘어 가치쇼핑으로, 다나와